윈도우 10에서 종종 개발하기에 가장 불편한 것이 바로 제대로 된 커맨드창이 없다는 점입니다. 그 점을 개선하고자 2015년 말 윈도우 10에 Linux subsystem, 즉 리눅스를 올려 실행할 수 있게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. 이 포스트에서는 윈도우 위 리눅스의 실행 방법을 알아보고 기존 윈도우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.
1. 윈도우 10에 리눅스 서브시스템 구축하기
우선 검색을 통해 아래 사진들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검색을 통해 [설정]을 찾고, 그 후에 [설정] - [업데이트 및 보안] - [개발자 모드] 를 선택해 주겠습니다.
그 후에는 윈도우 검색을 다시 활용해 [Windows 기능 켜기/끄기] 를 검색해 주어 사용하고, 거기에 바로 보여지는 [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]을 체크합니다.
이제 cmd를 다시 검색한 후에 오른쪽 클릭으로 [관리자 권한으로 실행] 시켜줍니다.
그리고 cmd에 bash를 쳐주면 아래와 같은 웹사이트에 접속하라고 뜨는데, 이는 다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로 가리키게 됩니다.
여기에서 저희는 우분투를 설치해 주면 되겠습니다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계정을 만들고, 해당 터미널에서 바로 리눅스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.
리눅스 bash에 접근하는 방법은 cmd에서 bash를 치는 방법이고(또는 ubuntu를 검색해도 된다), bash에서 윈도우 파일시스템에 접속하는 방법은 /mnt 로 들어가면 됩니다.
2. 리눅스 서브시스템에 대한 평가
우선 사용성이 크게 개선되어 그냥 우분투를 하나의 프로그램처럼 실행할 수 있는데, 그러면서도 가상머신의 불편함은 잡은 케이스라 너무 빠릅니다. 그리고 한번에 여러 버전의 리눅스를 실행 프로그램처럼 다운받을 수 있어 Docker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이제 bash에 익숙해 있던 개발자들이 윈도우에서도 큰 불편함 없이 개발환경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.
---
더 많은 분들이 쉽고 친근하게 과학과 기술을 활용하실 수 있도록 지식을 나눕니다.
- Fw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롬 유튜브 및 웹사이트 광고 차단 프로그램 사용법 (0) | 2020.08.04 |
---|---|
컴퓨터 팁글 50가지 모음 (1) | 2020.03.28 |
파워포인트 맞춤법 검사 끄는 방법 (2) | 2018.09.16 |
리눅스에 워드프레스 설치하는 방법 (0) | 2018.09.15 |
윈도우 10 스크린 캡쳐하는 3가지 프로그램 (8) | 2018.06.25 |